요즘 겨울철이여서 하우스 낚시를하다 든생각입니다

박종오 12 2,828

완전 쌩~초짜 입니다.

요즘 겨울철이여서 하우스 낚시를하다 든생각입니다

1. 저부력찌: 부력이 적어 봉돌(납)이 작아 채비가 가벼우나 부력이 적어 뜨는힘(부력)입질(찌올림)이 약하다?

2. 고부력: 부력은 좋으나 채비가 무거워 입질(찌올림)이 약하다?

3. 결론:결국이래서 매일 꽝치기초짜 이다ㅋ

이런 생각입니다...

어떤게 맞는지 아님 어떻게 이해해를 해야 하는지...참 우스운 질문일수도 있지만... 도와 주세요.

사랑합니다 선배님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Author

Lv.1 박종오  로열
10 (1%)

박종오

Comments

칠공이
간단하게 설명해서 요즘 많이 사용하는 좁살봉돌 채비를 해보세요 .
쉘위피싱
저부력찌 설명에서 잘못된 점이 있네요
부력이 적어 찌가 뜨질 않는게 아니라 붕어가 먹이를 한번에 삼켜 올리지 않거나 빨리 내뱃어서 찌가 오르질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우스에서는 미끼를 말랑하게 작게 쓰는 것입니다
그 외에 윗분이 말씀하신대로 좁쌀봉돌 채비가 유리할 수 있고요
원줄과 목줄도 최대한 가늘게....또 바늘도 작게 쓰는 것입니다
포인트 선정도 중요하구요^^
대충 설명이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건강하시고요 안출하세요^^
필링
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작게 쓰는게 유리할때도 많은것 같습니다.
무대포1
요즘 겨울철 내림이나 올림이나 저부력 추세이죠....하지만 아무리 예민하다고 해도 찌만 홋수를 낮춘다면 글세요.......아마도 예민한 입질에는 오히려 찌가 안움직일듯 하네요
찌가 저부력일수록 표면 장력에 피해를 많이 본다고 생각됩니다 떡밥 티끌이 하나만 묻어도 저부력은 솟아나는 힘이 부족하여 티끌과 표면 장력에 의해 찌의 움직임이 어려울듯 하네요 그리고 투척시 잠겼다 올라오면 찌톱에 물이 당연히??묻겠죠....그것도 저부력엔 치명적이죠....
고로....제생각에는 찌가 저부력으로 내려가면 원줄,바늘 미끼등도 같이 면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 됩니다...이상 제 짧은 소견이었습니다 제생각이정답은 아니지만 참고만하시고 다른 고수님들께서 더좋은 답변을 주시겠지요....
정창선
하우스낚시 아무리고수님들이라도 하우스에서는 별힘못씀니다,,그냥즐낚하시는게 건강에 좋음니다  아무리좋은떡밥 좋은찌 하우스에서는 아님니다..
고수님들 죄송하고요,,,단 잘나오는 자리로 이동하시는게^^
동동
찌의 부력만을 가지고 생각하지마시고 부력에 따라 달라지는 봉돌의 무게를 생각해봅시다. 고부력은 봉돌이 무겁고 저부력은 봉돌이 가볍죠. 그럼 붕어가 미끼를 입에 넣고 들어 올릴때 고부력찌는 저부력찌보다 이물감을 많이 느끼고 빨리 뱉어 버리겠죠? 가뜩이나 활성도도낮고 경계심도 강한데 조금이라도 이물감을 느끼면 바로 뱉어 버릴겁니다. 그리고 하우스낚시에서는 찌맞춤도 달리합니다.보통 케미꽂이 바로아래에 찌맞춤을 하고 그만큼 내놓고 낚시를 하지마시고 케미꽂이 아래로 약 1cm 아래에 찌맞춤을 하시고 그만큼만 내놓고 해보세요. 제가 예전에 많이 쓰던  방법입니다.
무대포1
동동님 말씀대로 하는게 낳을듯하네요...표면장력에 대응하는 방법중 하나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도 찌톱을 얇은것으로 사용 하세요 찌톱이 두터우면 표면 장력이 커집니다
저부력들 선호하시잖아요? 저부력이라하여 어디까지 부력이 적어야하는건 아니라 생각합니다
채비전채의 균형과 낚시 상황에 맞는 적당한 부력이 낳을것입니다 그 적당한 부력이라는건 자신이 하나둘씩 찾아나아가야 하겠죠...
하나예를들어 무조껀 저부력이 좋다 하신다면 원줄 마무리에 작은 8자도래 연결하시고 목줄,바늘 연결하신후에 부력은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 운영하셔보던지 아니면 다중 편납을하여 부력의 가감을 실험해보세요...하나하나 실험해보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그리고 나만에 독창운영술도 만들어 시도해보면 낚시의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더군요..
배고픈붕어
무대포님 잘 읽고 가네요.
레인아이
고부력이 채비가 무거워 입질이 약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
그때마다 상황이 천차만별이고.
낚시여건에 맞게 필요한경우가 있습니다.
맨날꽝야
어느쪽이 항상 좋다라는 것은 없습니다. 채비에 따라, 환경에 따라 또한 고부력이라고 해도 입질의 표현이 어려운 것이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필링
여름철에 피래미층을 피하기 위해선 고부력이 필수입니다.
그렇다고 고부력이 예민도가 떨어지는게 맞는것도 아닙니다.
채비의 저항에 대해서 그만큼 더 영향이 있으니 그러는것입니다.

채비전체 발란스를 생각해서 보세요
으라차차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15 신제품 ftv 방송중 극조찌 써보신분 요들야들 05-02 17:06 2835
1514 52인치 파라솔 버티는 파라솔 클램프 추천부탁드립니다 댓글6 디아블로 09-10 01:55 2834
1513 경심망 1.5미리 어디서 구할수 있지요?? 댓글7 무대포1 03-05 18:53 2831
열람중 요즘 겨울철이여서 하우스 낚시를하다 든생각입니다 댓글12 박종오 01-25 22:24 2829
1511 파라솔 추천 해 주십시오. 댓글2 환이아빠 07-09 15:21 2828
1510 무거운 편납문의 댓글4 순간포착 07-10 14:50 2826
1509 원줄/목줄 사용정보 질문 합니다 댓글5 김사공 03-25 18:44 2826
1508 왕좌대를 구입하려합니다. 댓글11 김생 03-15 21:20 2825
1507 다이와 파라솔(PV3) A/S 불가 문제 댓글4 배스 10-09 13:45 2823
1506 중층가방 추천좀해주세요. 댓글2 치카치카 12-01 16:11 2822
1505 바늘뺴기 만드는 법 댓글16 멍멍 10-27 21:40 2821
1504 찌이름 아시는 분요.. 댓글8 가을 08-31 00:31 2813
1503 여러 조사님들 각척수별 로얄척을 알려주세요.? 댓글10 최준영 09-01 19:38 2813
1502 시마노 경장 세제품 가격이 40만원정도 맞나요? 댓글11 운조사 10-19 23:23 2811
1501 남수에 관하여 댓글11 redeye 07-11 20:03 2807
1500 노지 상황에 따른 찌 푼수좀 알려주세요 댓글3 브라부스 07-25 12:22 2806
1499 찌에 대한 궁금증 댓글4 몽실이 12-12 21:32 2803
1498 고죽 13척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댓글10 한상현 02-01 20:27 2799
1497 바리바스 뉴 프로비젼 사용하시는 분들께.. 댓글12 에프킬러 10-26 13:47 2798
1496 가치도키 찌에 대한 문의 댓글6 가영아빠 09-24 18:47 2797
1495 충상찌 제작자 댓글2 위시티 04-25 09:16 2793
1494 해원에 나온 제품인데...어떤제품인가요? 댓글5 가물이 05-13 23:18 2791
1493 바낙스 ff가인 낚시대 질문..써보신분들요 댓글8 망치사나이 11-24 21:30 2789
1492 찌문의요(충상.고야마) 댓글2 탱탱볼 09-26 22:31 2789
1491 무난한전자찌 추천부탁드립니다 내동치어 05-23 01:23 2789
1490 장척으로는 어떤 제품이 좋을까요? 댓글10 철chul 12-11 09:49 2788
1489 신형차이조구 써치... 댓글6 영차 02-24 21:55 2785
1488 파라솔과 국산 포테이토 문의입니다. 댓글10 쏠로맨 06-18 22:33 2783
1487 다이와 일격 13척 어떤가요? 댓글7 쟁반 02-25 21:59 2781
1486 마루큐신형가방PA-03방수포관련 댓글2 정조사 12-15 00:42 2778
1485 쵸친용 찌 추천 부탁합니다. 댓글5 neufisch 08-27 23:39 2775
1484 토레이 스텐다드 목줄과 헤라강 목줄중 어떤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댓글2 홀로 08-02 14:06 2775
1483 손맛대로 고죽, 죽림파 13척 15척 구매 하려 하는데.. 댓글7 hsg620 06-23 17:50 2774
1482 좌대 댓글4 법용이 10-25 19:38 2773
1481 3w 자외선 led 질문요. 댓글7 qkrrl 09-21 14:49 2772
1480 찌멈춤고무가 밀리는 이유 댓글1 최용수 08-09 16:14 2771
출석체크하기!
(출석체크하고 매일 포인트를!!)
카테고리
010-8098-1696
월-금 : 9:00 ~ 18:00
점심시간 : 12:00 ~ 13:00
토/일/공휴일은 휴무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